국가과학과 유목과학은 서로 형식화 양식이 다르다. 그러나 前者는 자신의 주권형식을 後者의 발명에 계속 강요해왔다. 前者는 後者로부터 자신이 전유할 수 있는 것만을 취하고 나머지는 ‘非과학’으로 치부해버렸다.
국가과학은 전쟁기계의 모든 차원을 시민적인 계량 규칙에 종속시킴으로써 유목과학의 적용범위를 엄격하게 제한해 이를 관리하고 국지화시켜, 사회 전체에 그 영향력이 전파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일부 학자들의 사유와 입장은 국가과학에 의해 제약되고 훈육되고 나서야 (그리고 사회적, 정치적 개념을 억압당한 뒤에야) 비로소 활용되기 시작했다.
고딕 양식은 로마네스크 양식보다 한층 더 크고 높게 교회를 지으려는 의지와 분리할 수 없다. 더 멀리, 더 하늘 높이... 이 두 양식 간의 차이는 단순히 양적인 것만이 아니라 질적인 변화를 보여준다. 이를 테면 로마네스크 양식이 홈이 패인 공간 속에 머물러 있는 반면 고딕 양식은 매끈한 공간을 정복한 것 같은 느낌을 준다.
국가에 속하는 대규모 집단들은 분화되고 계서제적인 유기조직으로서 어떤 권력/기능을 독점하는 동시에 국가의 여기저기에 대표자를 배치한다. 이들은 가족 모델과 국가 모델을 하나로 통합시켜 그들 자신도 “대가족”처럼 행동한다. 그러나 이들 속에서 이 도식으로 환원할 수 없는 무언가가 작동한다. 가령 “로비”는 윤곽이 유동적으로 변하는 집단으로서 국가와 전쟁기계 사이에서 극히 애매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출처 : G. Deleuze & F. Guattari, <천 개의 고원>, 김재인 역, 694~702쪽.
(제대로 이해하고 요약한 것이 결코 아님)
국가과학은 전쟁기계의 모든 차원을 시민적인 계량 규칙에 종속시킴으로써 유목과학의 적용범위를 엄격하게 제한해 이를 관리하고 국지화시켜, 사회 전체에 그 영향력이 전파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일부 학자들의 사유와 입장은 국가과학에 의해 제약되고 훈육되고 나서야 (그리고 사회적, 정치적 개념을 억압당한 뒤에야) 비로소 활용되기 시작했다.
고딕 양식은 로마네스크 양식보다 한층 더 크고 높게 교회를 지으려는 의지와 분리할 수 없다. 더 멀리, 더 하늘 높이... 이 두 양식 간의 차이는 단순히 양적인 것만이 아니라 질적인 변화를 보여준다. 이를 테면 로마네스크 양식이 홈이 패인 공간 속에 머물러 있는 반면 고딕 양식은 매끈한 공간을 정복한 것 같은 느낌을 준다.
국가에 속하는 대규모 집단들은 분화되고 계서제적인 유기조직으로서 어떤 권력/기능을 독점하는 동시에 국가의 여기저기에 대표자를 배치한다. 이들은 가족 모델과 국가 모델을 하나로 통합시켜 그들 자신도 “대가족”처럼 행동한다. 그러나 이들 속에서 이 도식으로 환원할 수 없는 무언가가 작동한다. 가령 “로비”는 윤곽이 유동적으로 변하는 집단으로서 국가와 전쟁기계 사이에서 극히 애매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출처 : G. Deleuze & F. Guattari, <천 개의 고원>, 김재인 역, 694~702쪽.
(제대로 이해하고 요약한 것이 결코 아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