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문서고 탐방 #1
프랑스 이제르 도립사고 + 국립사고(Archives nationales de France)
김대보
파리1대학에 입학하기 전, 그르노블이라는 프랑스 동남부의 도시에서 어학연수를 했다. 그곳에서 무심코 찾아간 한 공공기관은 나에게 색다른 경험을 안겨주었다. 그 기관은 이제르 도립 문서보관소(Les Archives départementales de l’Isère)였다. 그곳은 분명 이제르 도 행정 혹은 국가 행정과 관련된 문서가 보관되어 있는 공공기관이었지만, 어학연수를 받으면서 일주일에 두 번, 혹은 세 번 정도 가면서 느낀 것은 문서보관소라는 곳이 도서관 같다는 점이었다. 한국에서는 국가기록원을 비롯하여 공공기관의 문서를 보관하고 있는 곳에 가본 적이 없었기 때문에 기록물 보관소, 혹은 문서보관소라고 불리는 기관의 이미지는 이 때 모두 생겼다.
파리1대학에 입학한 후, ‘역사학도라면 응당 문서보관소에서 살아야 한다’는 막연한 관념만 가지고 파리에 있는 국립 문서보관소(한국의 국가기록원에 해당)에 무작정 찾아갔다. 그르노블에서 프랑스의 문서보관소를 살짝 느껴봤기 때문에 ‘별거 있겠어?’라고 생각했고, 지금 돌이켜보면 정말 무모하게 찾아간 셈이다. 어디에 어떤 자료가 있는지, 문서를 어떻게 신청하는지, 등록은 어디서 하는지, 나한테 필요한 자료가 무엇인지 등 정말 중요한 정보들을 하나도 모른 채 시쳇말로 ‘맨땅에 헤딩’하듯이 찾아간 것이다.
프랑스 국립 문서보관소에 처음 등록을 한 것은 파리1대학의 정식 학생증이 나온 직후인 2011년 1월이었다. 인터넷에서 ‘Les Archives nationales’이라고 검색하고, 모든 항목을 다 뒤져서 간신히 가등록(préinscription)을 했다. 물론 이 때 두 상자를 예약할 수 있었는데, 지금까지 이 두 상자를 참고할 일이 전혀 없었다. 그리고 Archives, 즉 복수형으로 써야 하는지도 모를 정도였으니 정말 말 다 했다. 이렇게 가등록을 하고 내가 지정한 날짜에 처음으로! 국립 문서보관소에 찾아갔다. 당시만 해도 국립 문서보관소는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마레 지구와 퐁텐블로에만 있었다. (물론, Roubaix에 있는 노동 세계 문서보관소 les Archives nationales du monde de travail 도 있고, Aix-en-Provence와 Nantes에 있는 les Archives nationales de l’Outre-mers 가 있긴 하다). 퐁텐블로는 주로 정기간행물과 현대 문서들이 보관되어 있었고, 20세기 초반까지 문서를 열람하려면 무조건 마레에 위치한 문서보관소(이하 마레 본점)에 가야했다. 지금은 프랑스 혁명 직전까지 생산된 문서들만 마레에 보관되어 있고, 그 이후 문서는 모두 파리 8대학(생드니) 맞은편에 새로 생긴 문서보관소(이하 생드니 분점)로 이전됐다. 퐁텐블로의 자료들은 순차적으로 생드니와 마레로 옮겨지고 있었지만, 도별 회계장부 및 회계 관련 문서가 보관되어 있는 F5 시리즈는 계속 퐁텐블로에 남아있었다. 그런데 2016년에 퐁텐블로 분점 건물이 붕괴될 위기에 처하게 되면서 지금은 무기한 영업 중단 상태.
생드니 분점에 가기 위해서는 파리 지하철 13호선이 지나가는 곳에 사는 것이 좋다. 늘 자전거로 30분 거리에 있는 마레지구로 가다가 13호선 생드니행 종점까지 가는 시간은 최소 1시간 20분이었다. 제길. 왕복 두시간 반이 넘는다. Ivry sur Seine에서 7호선을 타고, Place d’Italie에서 6호선으로 갈아타고, 몽파르나스 역에서 다시 13호선으로 갈아타야 했는데, 책을 꺼내서 집중력이 정점으로 치달을 때 내려야 한다. 출근 시간대를 피하려고 나는 일부러 조금 늦게 집에서 나섰지만, 필요한 경우 일찍 나가기도 했는데, 다른 사람들 출근할 때 타면 진짜 지옥철이 된다. 어쩌다가 고장이라도 생기면 지하철 승강장은 발디딜 틈 하나 없이 꽉찬다. 집으로 돌아올 때는 당연히 앉아서 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하루 동안 문서 열람을 하고 집으로 돌아오면 저녁에 아무 것도 하기 싫어진다. 13호선을 타고 생드니로 갈 때, 몽파르나스역과 생라자르 역에서 운이 좋다면 자리가 생길 수 있다고 하지만, 그냥 포기하는 게 좋다. 그리고 파리 구형 지하철들은 창문이 안쪽으로 조금 열리는데, 파리 사람들은 그거 그냥 열고 다닌다. 특히 사람이 많을 때는 지하철 내부 공기가 눅눅해져서 ‘더 많은 공기가 들어오게’ 하려고 그나마 닫혀있는 창문도 열어버리는데... 각종 오염물질로 가득한 지하철 공기를 마시는 것이 나을지, 아니면 암내가 진동하는 눅눅한 공기를 마시는 것이 나을지... 판단은 여러분의 몫이다.
지금은 누구나 무료로 등록할 수 있지만, 당시에는 1년 등록비를 받았다! 학생은 10유로, 일반인은 20유로였다. (등록비가 없어진 것은 2013년이나 2014년이었던 듯) 그리고 2013년에 생드니 분점이 새로 ‘개업’하면서, 생드니 대학교 식당 이용을 장려하려고 국립 문서보관소 회원카드에 Monéo (전자화폐)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IC 칩을 넣어놨는데, 2015-16학년도부터 모네오 사용이 폐지되면서 이후 문서보관소 회원카드에는 IC 칩이 사라졌다. 회원 등록을 위해서는 당연히! 신분증을 가지고 가야 한다. 한국이라면, 주민등록증, 여권, 운전면허증 등이 있어야 하지만, 프랑스에서 우리는 외국인이기 때문에 여권과 체류증 가운데 하나를 가지고 가야 한다. 즉, 사진이 나와있는 공식 신분증! 그래도 여기에 등록할 정도면 어느 정도 학식이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하는지 등록 사무실 직원이 그리 깐깐하게 굴지는 않는다. 어떤 사람은 프랑스에서 인정받을 수 있는 신분증을 가지고 오지 않아서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한국 운전면허증을 보여주었는데, 사진과 생년월일이 딱 찍혀 있으니 그냥 인정해줬다. (이 글을 읽는 사람들 중 국립문서보관소에 등록하려는 사람이 있다면 여권을 꼭 가져가자!) 그리고 등록비를 받던 시기에는 학생증을 가지고 가야 했지만, 이제 무료 등록이기 때문에 학생증은 필요가 없다. 그리고 사진 같은 거 가지고 갈 필요도 없다. 알아서 웹캠으로 찍어준다. 나같이 ‘얼큰이족’의 경우 얼굴이 더 커보일 수도 있으나, 누구 보여줄 것도 아니니 그냥 그러려니 하자.
이제 등록을 마쳤다. 이제부터 인터넷으로 사전 예약 5건, 현장 예약 5건을 할 수 있다. 단, 하루에 볼 수 있는 상자의 수는 10개로 제한되어 있다. 그런데 고문서를 초고속으로 스캔할 수 있는 눈과 머리를 가진 사람이 아니라면, 꼼꼼하게 문서를 읽어가면서 문서 사진을 찍으면 하루에 한 상자를 끝낼 수 있을까? 약 1,000페이지 상당의 문서가 들어있는 한 상자를 끝내는데, 내 기준으로는 4~5시간 정도 걸린다. 물론, 문서를 꼼꼼하게 읽는 것이 아니라, 문서의 첫 페이지만 훑어보고 빠르게 문서의 주제를 파악하고 필요한 것과 불필요한 것을 걸러내어 필요한 문서만 사진 찍는 경우이다. 물론 그냥 다 찍어버리면 1~2시간 만에 끝낼 수도 있지만, 어차피 찍어 놓은 사진을 집에 와서 모니터로 봐야하니 그냥 그 자리에서 조금이라도 읽어두고 불필요한 것을 제외시켜놓으면 나중에 편하다.
사실 나는 프랑스혁명에 관한 박사논문을 위한 자료를 모을 때, 생드니 분점이 개업한 이후에도 마레 본점에 자주 가야 했다. 연구 시기가 프랑스 구체제부터 시작되기 때문. 그리고 혁명기 문서 가운데 일부는 마레 본점에 보관되어 있기도 했다. 그래서 다음에는 실제로 국립 문서보관소의 열람실에 어떻게 들어가는지 마레 본점과 생드니 분점으로 나누어서 얘기해보려고 한다.